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초단편 말고 단행본 길이의 웹소설을 도전해보자! 이전 포스팅에서는 초단편 웹소설 계약 따내기에 관해서 글을 썼습니다. 그러나 역시 초단편은 1000원짜리인데다가, 그렇게까지 수요가 큰 편은 아니라고 생각해서...뭔가 출판 이력이라고 하면 출판 이력이겠지만, 웹소설 작가라고 스스로를 칭하기에는 애매한 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일단은 정말 짧은 2만자 정도의 길이일 뿐이고, 기승전결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짧은 작품이니까요.  게다가 컨택한 몇몇 출판사에서는 이제 더이상 초단편은 출간하지 않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럼 초단편이 아닌 그냥 단편은 어느정도 길이일까요? 장편의 기준을 여쭤보니 장편은 10만 자 이상의 길이의 글을 장편으로 분류한다고 하셨습니다. 웹소설을 단행본으로 자주 사서 보시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한 권이 보통 10만 자 안팎의 길이이고.. 2024. 7. 17.
초단편 웹소설로 출판사와 전자계약서로 계약하기 이전 글에서는 제가 운 좋게 웹소설 초단편 투고 후, 출판사와 계약을 구두로 하기로 한 상황까지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정확히 어떤 순서로 출판사와 계약이 진행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물론, 계약이 계약인지라 출판사의 이름이나 저의 작가명 너무 정확한 정보들까지는 언급하지 않고, 최대한 익명으로 에둘러 말할 것입니다. 하지만 부수입이든 주수입이든 웹소설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에 간략하게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일단 초단편의 경우에는 완고 후 출판사 컨텍의 순서입니다. 보통 출판사는 여러 곳에 동시에 연락을 넣습니다. 이미 완고까지 끝낸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글을 보고 출판사의 분위기나 방향성에 맞는 곳에서는 컨텍이 올 것이고, 아닌 곳에서는 반려가 올 것입니다. 너무 답장 하.. 2024. 7. 16.
아무리 생각해도 프리랜서만으로는 살아남기 힘들 것 같다. 1. 블로그 광고 수익2. 유튜브 수익3. 포스타입 창작물 웹발행4. 웹소설 발간 여러가지 부수입을 쫌쫌따리 찍먹 해보고 있지만, 이건 굉장히 불안정적인 수입이다. 프리랜서의 삶이란, 내가 한 만큼 벌어들이는 것이 장점인데, 곧 단점이 될 수도 있다. 열심히 하면 어느정도 돈을 벌 수 는 있을 것 같지만, 계속해서 불안할 수밖에 없는 삶이다.  때문에, 고정적인 수입이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혹은, 모든 부수입/프리랜서로 하는 일이 망해도 내가 먹고 살 수 있는 길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회사에 취직해 경력을 쌓거나, 사업을 하거나, 혹은 하다 못해 내가 떄려쳤던 대학원이라도 다시 가야만 한다. 그렇게 플랜B를 세워 대비를 해두면서 지금 내가 구축해 놓은 파이프라인들을 각각 키워.. 2024. 7. 14.
웹소설 초단편 투고해서 계약 따내기. 이전 포스팅에서는 포스타입이라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웹발행을 통한 부수익을 얻는 것을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마침 웹소설을 쓰고 있기도 하고, 웹소설 초단편이 출간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어떻게 투고하고 출간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초단편 원고의 경우에는, 보통 너무 짧은 내용이기 때문에 기승전결이 있는 스토리가 탄탄한 내용보다는 고자극적인 소재를 이용한 소설들이 대부분 입니다. 이것을 출판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원고를 완성하는 것이 우선.초단편의 경우에는 보통 1.5~3만자 사이의 정말로 초단편의 소설이죠. 때문에 여러가지 내용을 담기는 힘들어서 빠른 전개와 자극적인 내용을 후다닥 풀어내야 합니다. 아무튼, 짧게 쓰는 것도 능력이라면 능력이겠죠. 초단편의 경우.. 2024. 7. 13.
포스타입으로 1차 웹소설 발행해서 수익 얻기 저번 포스팅에서는 포스타입이 창작물로 수익창출에 특화되어있는 플랫폼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보실 수 있으실 거예요. 아무튼, 저는 다행히 창작을 해 온 사람이고, 창작 하는 것에 딱히 큰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1차 웹소설을 발행하여 어느정도 독자층이 있는지 한 번 확인을 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일단 여기서도 간단히 1일 1포스팅을 해보기로 했어요. 어떤 장르가 인기 있을 지 몰라 포스타입을 여러개 개설하고 돌아가면서 한 편씩 올려봤습니다. 생각보다 구매하시는 분들이 꽤 되시더라구요.  하루에 평균 2만원 가량의 수익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가격은 글자 수에 따라 다르게 책정하였는데 가장 비싼 것은 1000 원이고 가장 저렴한 .. 2024. 7. 13.
[포스타입/Postype] 수익 창출에 안성맞춤인 포스타입을 아시나요? 저는 사실 본업을 하면서 동시에 여러가지 창작활동을 해왔습니다. 글과 그림 만화 등 여러가지를 쓰고 그리고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좋아했어요. 본업을 그만두고 요양하는 동안이었던 작년에 한 세 달 정도 뭔가를 열심히 그렸던 적이 있습니다. 제가 너무너무 힘든 와중에 무언가를 창작하면서 힘을 얻고, 제가 만들어낸 작품을 보며 좋아해주시는 분들을 보고 너무나 감사했습니다.  이전 글에서도 썼듯이, 저는 본업을 그만둔 후 정말 힘들었는데, 창작을 하며 마음을 정돈하고, 그것을 올렸을 뿐인데, 다른 분들이 그것을 봐주시고 좋아해주시더라고요. 물론 여러가지 이유로 세 달밖에 하지 못했습니다. 마음이 너무 힘들어서 창작도 할 수 없는 순간이 왔었거든요.하지만 그때의 기록은 남아있네요ㅎㅎ. 정말 짧은 만화를 그려서 올.. 2024. 7. 13.